1. 생산가능 곡선
생산가능곡선 (production possibilities curve) 이란 한 나라의 경제가 주어진 생산요소와 생산기술을 사용하여 최대한 생산할 수 있는 산출물의 조합을 나타내는 곡선이다.
2. 곡선의 수식을 유도하기 위한 이상적 조건
1) 생산량은 연속적이라고 하자.
(자동차 한 대는 가능하지만 2.44대 이런 건 상상하기 힘들다. 이런 불연속적인 생산량을 가지게 되면 곡선을 유도하기 힘듦. 예를 들어 전력량 이런 걸 생산량이라고 두면 거의 연속적이라고 할 수 있음)
2) 투입되는 자원이 연속적이라고 하자.
(벽돌 한 장은 가능하지만 벽돌 3.141592장 이런 건 상상하기 힘들다. 이런 불연속적인 자원을 가지게 되면 곡선을 유도하기 힘듦. 예를 들어, 철을 자원으로 둘 경우 2.97858758kg 이렇게 연속적인 양조절이 가능함)
3) 투입되는 자원들이 어떤 산출물을 생산하는 효율은 임의로 배정된다고 하자.
(현실에서는 그럴지 모르겠지만 모델을 단순화하기 위함임)
4) 자원과 생산량이 꽤나 큰 수여서 큰 수의 법칙이 성립한다고 하자.
5) 두 산출물은 큰 차이가 없다고 하자.
(계산을 편하게 하기 위해서. 자동차와 볼펜 이런 두 산출물이 아니라, 빨간 볼펜과 파란 볼펜 이렇게 큰 차이가 없는 산출물이라고 하자)
6) 나머지 모든 조건은 동일하다고 하자.
3. 수식 유도
두 산출물 A와 B의 생산 효율이 m:n 어떤 자원의 집합을 P(m,n)이라고 하자.
큰 수의 법칙에 의해 모든 m,n에 대해 P(m,n)의 총 생산량은 동일함.
계산을 편하게 하기 위해 P(m,n)의 총 생산량은 항상 1이라고 해보자.
P(m,n)을 나름의 순서대로 줄 세우면 다음의 일차함수 그래프를 그릴 수 있다
그래프의 임의의 지점 t를 선택해 t를 기준으로 오른쪽은 B를 왼쪽은 A를 생산하도록 하면, 각각의 생산량을 t를 매개변수로 하는 함수로 나타낼 수 있고 이를 그래프에 나타내면 다음의 그림과 같다.
원점에 대해 볼록하다
4. 한계
이 모형은 말 그대로 2.의 이상적인 조건 하에 성립하는 모형이다.
실제로는 잘하는 사람은 더 잘할 거고, 하나만 100% 잘하는 사람은 드물다.
그리고 완벽히 비슷한 공정을 거치지도 않을 것이다.
또, 연속적인 자원도 연속적인 생산물도 불가능하다.
실제로 초기자본이 있고 규모의 경제가 적용되는 산출품의 경우, 오목한 그래프가 그려지기도 한다.
'잡생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마트 홈 (3) | 2024.07.23 |
---|---|
생성형 AI (0) | 2024.05.30 |
비유 (0) | 2024.02.19 |
물리 교육에서 힘의 개념 설명의 문제점 (0) | 2024.0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