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32

생성형 AI

생성형 AI이번에 애플이 6월 WWDC에서 생성형 AI를 발표한다고 하는데OS 차원에서 생성형 AI를 적용하게 되면 정말 어마무시한 혁신을 만들 가능성이 있다온디바이스 AI를 삼성이 먼저 적용하긴 했지만 OS와 AI를 결합시킬 수 있는 몇 안되는 회사에서 저렇게 낼 줄은 몰랐다.없는 것보단 있으면 편하긴 하지만 딱 그 정도 수준으로 만든 것 같다.그냥 서드파티 어플이나 웹서비스로 구현 가능한 걸 내부 리소스로 가능하게 만든 정도고 UX가 크게 개선되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뭔가 가능하니까 만든 느낌.애플은 신기술을 언제나 가장 우아하게 구현하는 제품을 만들어왔으니 기대가 된다. UX라는 단어를 만든 기업인만큼 새로운 경험을 보여줬으면 좋겠다.온디바이스 AI로 할 수 있는 차별화되는 점은 사용자에 맞춤화가..

잡생각 2024.05.30

2024.5.22 기록

너무 진행 속도가 느리다 3월까지는 끝낼 줄 알았는데 여름 방학하기 전까지 못 끝낼 것 같다.지금 남은 게6. 캘린더7. 나의 페이지8. 권한 설정9. 게시판10. 수정11. DB 크롤링12. 앨범 아이콘, 댓글, 하트13. SEO14. 인덱스 정렬15. 평가창 분리 요정돈데 정말 쉽지 않다. 일단 목표는 방학 전까지 오픈인데 정 안 되면 외주라도 맡길 생각이다. 그동안 진행사항1. 로고 제작 및 UI 개선          알아낸 점1. 검정색 #000000 잘 안 씀. 실제로 쓰면 좀 튀어보이는 듯. 짙은 회색이 예뻐보임.2. 꺽새 (>)를 빈공간에 넣어주면 클릭하고 싶어짐3. 사진도 크게, 헤더도 크게 만들었어야 했다.4. 라운드도 생각보다 많이 줘도 예쁨5. 레퍼런스 찾는 시간을 늘려야겠다.6. 반..

2024.4.10 기록

1. 도메인을 열어봄muze라는 이름을 쓸지 다른 걸로 바꿀지 도메인을 뒤져봤다결국 muze.hiphop이라는 도메인으로 결정했다새로운 로고도 만드는 중  2. 로딩 속도 개선 - 1헤더에서 원래 로그인/회원가입을 모두 할 수 있었는데 로딩속도 문제로 회원가입은 따로 페이지를 만들었다.옮기기만 하면 돼서 금방 수정했는데 페이지 로딩 속도가 평균 4000ms 정도였는데 2500ms 정도로 줄었다.아무리 그래도 좀 느려서 뭔가 방법을 찾아봐야 될듯하다.그래도 다행인 점은 커뮤니티는 로딩이 느리면 진짜 안될 것 같아서 SPA로 만들었는데 로딩이 거의 없다.느낄 수가 없는 수준이다.  3. 노래 가사 편집노래 가사 편집 기능이 생각보다 복잡하게 만들어지고 있다. 하다가 안 하다가 하니까 데이터 구조도 좀 헷갈림..

2024.03.05

해야될 거. 1. 이미지 처리 이미지 로딩 속도를 줄여야 하는데. 우선 데이터베이스에는 300*300픽셀 사이즈의 이미지가 저장되어 있음. 어떤 페이지에서 30*30 픽셀의 크기로 이미지를 띄워야 하고, 어떤 페이지에서는 300*300 픽셀로 띄워야 하는 상황. 30*30 픽셀로 여러 개를 띄울 때는 퀄리티를 좀 낮추고 속도를 향상시키는 방법이 있는지를 알아봐야 함. 일단 기능상에 문제는 없기에 배포하고 나중에 해결하기로. 2. 문서 편집 페이지 아예 바닥부터 만드는 "생성"이랑 "수정"을 다른 페이지로 구성했는데, 통합하기로. 디폴트값을 부여하는 작업을 노가다로 함. 특히 노래 문서 편집 페이지에서 가사 부분을 만드는 게 엄청 어려웠는데, 1) 처음엔 input 값을 서버에 바로바로 저장하지 않고 문서..

이상적 조건에서 생산가능 곡선 유도

1. 생산가능 곡선 생산가능곡선 (production possibilities curve) 이란 한 나라의 경제가 주어진 생산요소와 생산기술을 사용하여 최대한 생산할 수 있는 산출물의 조합을 나타내는 곡선이다. 2. 곡선의 수식을 유도하기 위한 이상적 조건 1) 생산량은 연속적이라고 하자. (자동차 한 대는 가능하지만 2.44대 이런 건 상상하기 힘들다. 이런 불연속적인 생산량을 가지게 되면 곡선을 유도하기 힘듦. 예를 들어 전력량 이런 걸 생산량이라고 두면 거의 연속적이라고 할 수 있음) 2) 투입되는 자원이 연속적이라고 하자. (벽돌 한 장은 가능하지만 벽돌 3.141592장 이런 건 상상하기 힘들다. 이런 불연속적인 자원을 가지게 되면 곡선을 유도하기 힘듦. 예를 들어, 철을 자원으로 둘 경우 2...

잡생각 2024.03.01

2024.02.21 기록

메인 화면의 인기 음반 목록을 일주일마다 변경하도록 만들었다. 백엔드 워크플로우에 대해 좀 배웠다. 메인 화면 반응형 디자인을 좀 손봤다. (이전 디자인이 좀 더 좋은 것도 같다.) 앨범 문서 페이지의 평가 팝업 오류를 고쳤다. 픽셀 맞추는 노가다였다. 이 페이지는 기능이 딱히 없어서 거의 끝난 것과 마찬가지이다. 음악 캘린더를 어떻게 만들지에 대해 고민을 좀 오래했다. (오른쪽 박스) 문서 편집 페이지도 좀 오래 붙잡고 있었다. 수정페이지랑 생성페이지를 하나로 통합할 수 있을 것 같아서, 원래 데이터가 있으면 기본값으로 입력이 되어있게 하려고 했는데, 이미지업로드 엘리먼트가 어떻게 작동하는 건지 모르겠다. 보아하니 저번에도 여기서 포기한 거 같다. 고민을 좀 해봤는데 문서 완성 전단계 데이터를 담을 객..

2024.02.19 기록

지금 만들어 놓은 페이지가 대충 30개 정도 되는데 한 페이지 하다가 질리면 다음 페이지 이런식으로 두 바퀴 정도 돌았음. 세 바퀴째 돌고 있는데 어떤 페이지는 많이 완성되고 어떤 건 거의 시작도 안 함. 문서 생성 페이지는 거의 다 만든 거 같음. 근데 생성 페이지랑 수정 페이지를 구분해놨던데 그 이유가 기억이 안난다. default value 때문이었던 거 같은데, 하나로 가능할 거 같은데 도대체 왜 따로 만들었더라. 앨범 페이지도 거의 다 만듦. 리스트를 하이퍼링크로 다는 기능이 우아하게 해결된 거 같아서 기분이 좋다. 앨범과 노래 데이터를 연결할 때 나름의 순서 (앨범마다 노래의 순서가 다르니까)를 부여해야 했는데, album-song 이라는 데이터 타입을 만들어서 앨범에 album-song 타입..

개발 계획

1. 노코드 툴 bubble.io 노코드 장점 직관적이다. (GUI가 직관적인 건 당연) 개발환경 세팅할 필요가 없다. (심지어 웹에서 돌아감) -> 빠르게 학습 가능 -> 빠르게 개발 가능 단점 어떻게 돌아가는지 모름 (코드를 공개하지 않음) 기능의 한계가 좀 있음 (하다보니까 편법을 써야 되는 게 많음) 2. 기능의 한계 예시로 "괄호" 기능이 없음. 현재 인덱스-1 의 값을 참고하려면 보이지 않는 다른 컨테이너에 값을 인덱스-1로 설정하고 그 컨테이너 값을 가져와야 됨. 동기화 문제도 약간 저런 식으로 해결해야 함. 생각나는 문제는 저 두개 정도고 왠만한 기능은 전부 들어가 있긴 함. 없으면 플러그인 쓰면 됨. 다시 보니까 괄호 기능도 math.js 라는 플러그인이 있음. 기본적인 기능은 그냥 묶어..

비유

비유는 우리가 익숙한 것과 낯선 것을 연결해 주는 역할을 한다. 학습자는 주로 실감 나는 경험을 통해 학습하며, 이를 통해 추상적인 개념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분과 같은 수학적 개념은 학습자에게 추상적으로 느껴질 수 있다. 그러나 이를 수식으로 설명하는 대신, 시간에 따른 위치의 변화율은 속도라는 개념을 이용해 “매우 짧은 단위의 시간으로 나누어 순간 변화율을 구하기 위해 미분을 사용한다.”와 같이 비유를 사용하면 이해하기 쉬워진다. (정확히는 환유에 가깝다)이러한 편의의 목적뿐만 아니라, 비유는 개념에 대한 직관적인 정의를 대신하기도 한다. 새로운 용어를 정의하기 위해서는 다른 용어를 사용해야 하는데, 이를 계속해서 거슬러 올라가 보면 다른 용어로 정의하지 않는 무정의용어에 도달하게..

잡생각 2024.02.19

물리 교육에서 힘의 개념 설명의 문제점

[물리학 학습의 과정] 물리학을 공부한다는 것은 어떤 의미일까. 물리 연구에 대한 이야기가 아닌 공부에 대한 이야기이다. 물리 공부의 일반적인 절차는 다음과 같다. 먼저 실험을 통해 알아낸 실제 세계의 기본적인 성질들을 배운다. 주로 이런 성질들은 기본적이어서 어떤 증명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수학으로 비유하자면 공리의 개념과 유사하다. 작은 입자에 작용하는 전자기력의 크기, 중력상수 등이 이런 기본적인 성질들이다. 이후 이런 기본적인 성질들로 새로운 성질을 유도한다. 원형 판에 작용하는 전자기력을 구해야 한다고 하자. 원형 판도 결국 작은 입자들이 특정한 배열을 이룬 것이다. 따라서 작은 입자에 작용하는 전자기력의 크기를 전부 더해 원형 판에 작용하는 전자기력을 구할 수 있다. 이런 새로운 성질은 주로..

잡생각 2024.02.19